업무 메모

물탱크 기초 등 간단한 토목 기초구조물 설계시 사용하는 하중조합은 보통 아래와 같다. De : Empty Weight (탱크가 비어있는 중량) Do : Operation Weight (운용중인 탱크 중량) Dt : Testing Weight (시험 중인 탱크 중량, 가득채워서 테스트 하기도 함) 최근 기준인 ASCE 7-22를 보면 안정성검토나 허용응력설계법으로 검토시 하중조합으로 D+0.85W가 아니라 D+0.75W를 쓰고 있고, 0.6D+0.85W 가 아니라 0.6D+0.6W를 쓰고 있었다. 지진시는 0.6D+0.7E 그래도 쓰고 있었다. 엄밀히 표현하면 0.6D-0.7Ev+0.7Eh를 쓰고 있었다. 강도설계법 검토시 하중조합은 1.4D, 0.9D+1.0W, 1.2D+1.0E, 0.9D-1.0Ev+1..
폐수탱크의 콘크리트 기초판 이며 해당도면은 아래와 같다. 탱크 벤더에서 제공한 자료는 아래와 같다. 참고하려는 자료들은 아래와 같다. 처음에 샘플로 잡으려고 했던 계산파일은 참고자료/기초계산서샘플/신남원기초구조계산서 이다. 하지만 말뚝에 대한 것이 없어서 말뚝자료를 찾던 도중에 광주강진 기초안정성검토 파일을 발견했다. 말뚝의 지지력 및 침하 검토 샘플로는 좋은 자료였고 그 폼 자체가 마음에 들었다. 그래서 광주강진 말뚝 검토 xlsm(매크로 있음)을 베이스로해서 기초검토를 앞부분에 추가해서 새로운 계산서를 만들기로 한다. 말뚝간격 검토 물탱크 기초부 말뚝간격은 3.71D~4.85D로 3D보다 크므로 무리말뚝의 효과는 고려하지 않는다. 무리말뚝 간격에 대한 내용은 요기 참조. 탱크 자체 계산서가 입수되지 ..
플랜트 장치의 매트기초는 페데스탈이 없이 지반에 직접 하중을 전달하는 단순한 구조의 기초이다. 건축쪽에서 수행하는 스타일은 Midas SDS를 통해 슬래브 검토를 하는데, 말뚝은 그냥 기초판 모델링에서 해당 절점을 고정으로 잡은 후 기초판 휨해석을 한다. 내진설계는 하지 않고 있었다. 이번에 수행하는 작업에서는 약간 토목스타일로 해보기로 한다. Midas Gen으로 기초판 모델링을 하고 말뚝허용지지력은 교량할 때 썼던 엑셀파일을 이용하기로 한다. 말뚝의 휨검토는 말뚝의 제조사마다 그 스펙이 다르므로 검토가 큰 의미가 없을 듯 하다....가 아니라 KS규격이라 거의 비슷하다. 말뚝 모델링 귀찮아서 아래는 마이다스아이티에서 다룬 PHC 말뚝의 휨 검토에 대한 내용이다. 안녕하세요. 한길아이티입니다. 1. 말..
Midas Design+로 장치 앵커부 구조계산을 시도해 본다. 앵커볼트가 M30으로 입력해야 하는데 인치볼트밖에 보이지 않는 문제 발생 이걸 다 한국기준으로 해야 앵커볼트 규격이 한국 스타일로 바뀐다. AFES에서 Mx의 뜻은 X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모멘트 였는데 Midas Design에서의 Moment (x)도 같은 뜻인지 확인이 불가하다. 일단 같다고 가정하고 들어간다. 하중을 넣을 때 AFES에서 기초파트에서 나오는 요약표가 있다. 이걸 Midas design에 입력하는데 아래와 같이 조합이 필요하다. 즉, 위 그림에서 Fx최대값이 34.85인데 나머지는 Mx도 0이고 Fy도 0인데 각 숫자를 모든 경우의 최대값들만 모아서 하나의 조합으로 하는 건 맞지 않기 때문이다. 하고 나서는 CHK 체크박..
철골구조 도면 작성 팁 정리 아래의 파일 참고. H형강을 보나 거더로 활용할 때, 기둥 강접합부는 샵에서 만들어서 가져온다고 함. 시공성 때문임. 그러다 보니 H형강 보의 양쪽 끝부분의 일부가 잘라서 스플라이스로 이어붙여놓는 모양새가 됨. 구조적으로만 보면 멀쩡한 H형강 씰 데 없이 짤라서 이어붙인 것으로 보이나 이렇게 하지않으면 시공이 너무 어렵게 됨. 거더 이음부의 타입은 위에 뭐가 걸리는 것이 있으면 안될 경우 GSB 타입을 주로 쓴다고 함. GSB타입은 상부플랜지는 용접하고, 웨브와 하부플랜지는 볼트연결하는 형태이다. GSA타입은 상부하부플랜지, 웨브 모두 볼트연결이다. ※ G : Girder, S : Splice, A와 B는 단순히 구분하려고 붙인 거 기둥의 이음 타입은 아래와 같다. 브레이싱은..
위 참고자료를 이용해서 이번 AK 탱크야드 BM을 작성했다. -오일샌드는 원형탱크 밑면 면적에만 잡아주는 듯. -방습필름은 바닥치기 전 까는데 위의 IBST샘플을 분석해보니 탱크 원형 면적 정도만 잡혀있다. -IBST 샘플에있는 케이컬앵커, 콘크리트치핑, 신구접착제도포, 등은 신구접합에 필요한 아이템으로 신설과업에는 필요없다. 파일 갯수를 산정하기 위해 하중을 구해야 하는데 탱크 용량에 비중 1.1 을 이용해 탱크 내용물의 하중을 구한다. 탱크기초의 하중은 쉽게 구할 수 있다. 빈 탱크 강구조물의 하중은 5500KL 탱크 정도면 190톤, 7900KL 탱크도 183톤....?? 7000KL 짜리 240 톤...?? 각양각색이었음. 대략 5000 ~ 8000 KL 정도의 탱크(강구조물)의 중량은 200톤 ..
Inactive기능을 이용해서 삽도를 이렇게 따고, 멘트에다가 "4층 부분을 해체한 잔재물을 3층에 재하하였다" 라는 식으로 스토리를 만들어 나가야 한다. 건축물 해체는 단계별 해석이 FM이라고 한다. Jack Support(잭서포트)는 해체물 적체하는 층에 직접 지지하고 그게 지상까지 쭉 내려와야 효과가 있다. 3층에 해체 잔재물을 적재하고 뜬금없이 1층에만 잭서포트를 지지하면 의미가 없다. 발코니 부분. 특히 80년대 건축물의 통로로 쓰였던 캔틸레버부 발코니는 해체모델링할 때에는 없애주는 것이 좋다. 아래 그림에 표현한 부분에서 힘이 집중되어 (특히 전단력) 단면력이 과다하게 나오기 때문이다. 실제 해체공사시에도 저 발코니 부분을 먼저 털어낸다고 하니 감안해야 하겠다..
✯
'업무 메모' 카테고리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