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랜트 장치의 매트기초는 페데스탈이 없이 지반에 직접 하중을 전달하는 단순한 구조의 기초이다.
건축쪽에서 수행하는 스타일은 Midas SDS를 통해 슬래브 검토를 하는데, 말뚝은 그냥 기초판 모델링에서 해당 절점을 고정으로 잡은 후 기초판 휨해석을 한다. 내진설계는 하지 않고 있었다.
이번에 수행하는 작업에서는
약간 토목스타일로 해보기로 한다.
Midas Gen으로 기초판 모델링을 하고
말뚝허용지지력은 교량할 때 썼던 엑셀파일을 이용하기로 한다.
말뚝의 휨검토는 말뚝의 제조사마다 그 스펙이 다르므로 검토가 큰 의미가 없을 듯 하다....가 아니라 KS규격이라 거의 비슷하다. 말뚝 모델링 귀찮아서
아래는 마이다스아이티에서 다룬 PHC 말뚝의 휨 검토에 대한 내용이다.
안녕하세요. 한길아이티입니다.
1. 말뚝의 허용지지력 산정시 고려되는 안전율은 도로교표준시방서(1996) 9.4.1(1)를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해당 자료를 첨부합니다.
2. PHC말뚝은 제작제품으로서 제작업체에 따라 허용응력 등이 상이할 수 있으므로 해당 PHC말뚝업체에서 제시되는 값을 적용하는 것이 타당합니다.
다만 프로그램상의 기본값은 도로교 표준시방서(1996) 표4.2.4 및 표4.6.2 , 도로교설계기준해설(2008) P838 의 값을 기본으로 휨압축응력과 휨인장응력을 적용하였으며 제시되지 않은 전단응력은 첨부의 일본 도로교 시방서를 참고하였습니다.
도로교 설계기준해설(2008) 해설표 5.8.5-1에서는 일본도로교시방서(2002)의 허용전단응력이 제시되었으나 허용휨압축응력은 27MPa로 상이하므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질의하신 지진시 허용휨인장응력의 경우 설계기준해설(2008) 표2.2.4를 참고하였으며 그 외 허용 휨압축응력(지진시)과 허용전단응력(지진시)의 경우 명확한 자료가 없는 상태입니다.
통상적으로 지진시라고 하면 상시 x 1.5 가 되게 되나, 실시설계 성과품 및 PHC 말뚝 제작 업체의 카다록등을 참고하여 작성된 값으로 인지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위 값은 명확한 기준이 없는 상태이므로 PHC 제작업체의 값등을 참고하셔서 사용하시기를 권해드립니다.
하지만 PHC파일은 한국산업규격 KS F 4306 에 그 규격이 정해져있고, 강도도 업체들 대부분 KS 의 강도 그대로 표시하고 있었다. 업체들의 PHC파일 스펙은 대충 아래와 같았다. (삼표 PHC파일은 고강도, 초고강도 제품들이 있었다.)
그리고 KS F 4306 내용은 아래와 같다.
그래서 만약 마이다스로 파일을 모델링했다면 파일이 받는 모멘트를 체크는 해봐야 할 것 같다.
'업무 메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계장치 기초 설계시 하중조합 (0) | 2023.07.20 |
---|---|
장치 기초 (only 기초판) 계산 중 메모 (0) | 2023.07.19 |
MIDAS DESIGN+::장치 기초 계산 수행시 팁 (0) | 2023.06.14 |
철골구조 건축물 도면 작성 팁 정리 (0) | 2023.05.30 |
AK 탱크야드 BM산출작업 중 노트 (0) | 2023.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