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정검토를 위한 사용하중 조합
실무에서는 아래와 같은 조합을 많이 쓰고 있다.
그런데 지진이 들어간 하중조합에서 0.21 이란 계수가 보인다.
일단 아래의 문헌들을 보자.
'100%+30% 규칙' 이라고 X방향 지진하중을 고려할 때 Y방향 지진하중도 30%를 함께 고려한다는 규칙이다. (골조해석할 땐 그렇게 안해주는데...;;;)
0.7 (Ex + 0.3Ey) = 0.7Ex + 0.21Ey 가 된다. 그래서 0.21이라는 숫자가 보인 것이다.
수평방향 지진력만 계산할 때는 그렇고,
수직방향(중력방향) 지진력까지 고려한 하중조합에서는 건축물 내진설계기준에 따라
X방향 지진하중은 Ex + 0.3Ey + 0.3Ez 를 고려해야 하는데 하중계수가 0.7이 붙으면
0.7 (Ex + 0.3Ey + 0.3Ez) = 0.7Ex + 0.21Ey + 0.21Ez 가 된다.
'토목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재의 항복강도::두께에 따라 다르다 (0) | 2024.07.11 |
---|---|
상시 수평방향 지반반력계수 산정 (0) | 2024.07.01 |
구조 관련 엑셀 파일 몇개 (0) | 2024.05.27 |
건물의 단위중량을 어떻게 산정할까 (0) | 2024.01.05 |
면허 업종 검색 사이트 (0) | 2023.10.04 |